허준의 저서는 「동의보감」을 제외하고 총8종의 책이 있으며, 이 책들은 이미 있던 중국의 의서를 한글로 번역한 책과 자신의 의학적 지식을 토대로 쓴 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.
「동의보감」외에 책의 종류로는 처음으로 교정한 「찬도방론맥결집성」, 한글 풀의 의서인 「언해태산집요」, 「언해구급방」, 「언해두창집요」, 전염병 전문서인 「신찬벽온방」, 「벽역신방」 내의원들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「선생안」과 각종 납약과 잘 듣는 병증을 연결해 기술한 책인 「언해납약증치방」등이 있다.
-
동의보감
1596년에 허준이 왕명을 받고 편찬을 시작하여 1610년에 완성한 백과사전적 의서. 1611년에 이정구(李廷龜)가 서문을 쓰고, 1613년에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.
-
벽역신방
1613년에 허준이 왕명을 받아 지은, 전염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서이다. 1613년 봄부터 악질인 당독역(唐毒疫)이 유행하여 사망자가 많아지자...
-
신찬벽온방
『신찬벽온방』은 온역. 즉 전염병 치료에 관한 전문의서이다. 1612년(광해군 4)에 관북지방에서 전염병이 발생하여 전국에 번지자 이듬해....
-
언해구급방
1607년 (선조 40) 허준이 저술한 구급의학 전문서적이다. 이 책은 세종 때 간행된 지은이와 연도가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은 『구급방(救急方)』...
-
언해두창집요
1601년(선조 34)에 허준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것을 1608년 내의원에서 간행한 두창에 관한 의서이다. 2권 2책으로 목판본이다.
-
언해태산집요
1608년(선조 41)에 허준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산부인과 전문서이다. 현전본은 1권 1책으로 목판본이다. 서발(序跋)은 없고 목록만이 있으며 본문 마지막 장에 ...
-
찬도방론맥결집성
이 책은 선조의 명에 의해서 허준이 1581년 이전의 원간본을 교정한 후 1612년(광해군 4)에 4권 4책으로 발간한 것으로 허준이 교정을 거친 ...
-
내의선생안
조선시대 내의원에서 근무하며 어약을 관장했던 왕실 의원들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명부이다. 특히 허준의 서문이 붙어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. ...
-
언해납약증치방
조선시대 내의원에서 해마다 섣달에 그 다음 한 해 동안 소용될 상비 한약에 대해 기록한 의서로 1권 1책, 목판본이다. 이 책은 최근 발굴된 『태의선생안』에 허준의 ...